스위치(Switch)
-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,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
- 스위치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 곳을 계산하여, 해당 포트로 1:1 연결 → Switching
- 스위칭은 정보 전달의 수단과 회선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입출력 사태를 감시하며, 전송로의 장애 발생 시 현재 상태에서 예비 상태로 전환.
특징
- 패킷을 보내는 노드와 받는 노드를 1:1로 연결해 주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
→빠른 속도로 전송 가능
- 두개의 노드가 통신을 하는 동안 다른 노드들도 서로간의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며, 이더넷에서 높은 효율을 갖음
- 노드의 수가 증가해도 속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며, 패킷의 감청이 어려운 구조로 보안성이 높음
- 기본적으로 Processor, RAM, OS 를 탑재하여 많은 부가 기능을 갖음.
장점
- 완전한 이중화와 Fault-Tolerant 구성이 가능하며, 대역폭 비용이 낮아짐
- 트래픽 제어가 상대적으로 높으며, 포트 당 속도가 일정하게 보장됨
- 여러 노드에서 동시 통신을 할 때 속도 저하가 없고, 성능이 향상 됨
- 전이중 통신 모드로 네트워크상의 불필요한 패킷의 흐름을 막으며, 퉁돌이 발생하지 않아 빠른 속도의 전송이 가능
- 각 DTE는 스위치를 몰라도 데이터 전송에는 상관 없고, 많은 부가 기능이 있음.
스위치 장비 특징
1. 스위치
- Layer 2 계층 장비 / ROUTER 는 3계층 PC는 7계층
L2 L3 L4
- ETH | IP | TCP | HTTP
------> MAC 주소 참조
- 'Mac Address-Table' 정보 참조
2. 스위치 기본 동작
- Learning : MAC 주소 자동 학습 기능 ←목적지의 mac 을 모를때 arp요청을 하고 얻은걸
- Flooding : 브로드케스트 프레임을 수신하여 전체 포트로 프레임을 복제하여 전송하는 기능
- Forwarding : 'mac address-table'을 참조하여 해당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능
- Aging : 'mac address-table'에 등록된 MAC 정보를 갱신 및 삭제하는 타이머
- Filtering :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로 다시 프레임이 송신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루프 방지 기능
→Unkown유니캐스트도 가능함
3.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기능
- 관리자가 참여하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한 특성
4. Switch 명령어
en
conf t
!
hostname 이름
!
enable secret cisco
!
no ip domain-lookup
!
line con 0
password ciscocon
login
exec-timeout 0 0
logg syn
!
line vty 0 15
password ciscovty
login
!
5. 스위치 관리자 IP 주소 설정
- 기본적으로 VLAN 1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여 관리용으로 사용
@ SW1
int vlan 1
ip address 192.168.1.1 255.255.255.0
no shutdown
!
ip default-gateway 192.168.1.254
@ SW2
int vlan 1
ip address 192.168.1.2 255.255.255.0
no shutdown
!
ip default-gateway 192.168.1.254
SW1,SW2#show run
SW1,SW2#show ip int brief
SW1#ping 192.168.1.254
SW1#ping 192.168.1.102
6.외부 IP로 ping
ip default-gateway 192.168.1.254 ←GW 지정하여 외부로 ping 할 수 있게 만든다.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TP (0) | 2020.07.16 |
---|---|
VLAN (0) | 2020.07.16 |
DHCP & NAT (0) | 2020.07.16 |
와일드카드 마스크(WILD CARD MASK) (0) | 2020.07.16 |
ACL (0) | 2020.07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