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3 스위치(Switch)
스위치 구분
- 어떤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을 하느가에 따라서 L2, L3, L4 스위치로 구분됨
- L2 는 MAC 주소, L3 는 프로토콜 주소, L4 는 세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위칭 함
Layer 3 스위치
- 포트간 패킷 스위칭을 위해 패킷의 IP 나 IPX 주소를 읽어 스위칭 하며, 통신 경로를 한번만 설정
- 해당 프로토콜을 쓰는 패킷에 대해 스위칭이 가능하며, OSI 3계층에 해당
- L2 스위치에 라우팅(Routing) 기능을 추가하고 대부분의 고성능 하드웨어를 기초로 구성
- Brodcast 트래픽으로 전체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음
- 트래픽 체크, 가상 랜 등의 부가 기능
명령어
@SW1
en
conf t
spanning-tree mode rapid-pvst
ip default-gateway 121.160.42.2
vtp domian cisco
vtp password cisco
vlan 11
valn 12
int vlan 1
ipn address 192.168.100.1 255.255.255.0
!
int f0/1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1
!
int f0/2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2
!
int f0/24
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
switchport mode trunk
@SW2
en
conf t
spanning-tree mode rapid-pvst
ip default-gateway 121.160.42.2
vtp domian cisco
vtp password cisco
vlan 11
valn 12
int vlan 1
ip address 192.168.100.1 255.255.255.0
!
int f0/3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1
!
int f0/4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2
!
int f0/5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3
!
int f0/24
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
switchport mode trunk
@SW1
ip routing // IP 라우팅 기능
!
int vlan 11 / SVI 인터페이스
ip address 192.168.11.254 255.255.255.0
!
int vlan 12
ip address 192.168.12.254 255.255.255.0
!
int vlan 13
ip address 192.168.13.254 255.255.255.0
!
int f0/10 // Routed 인터페이스(L3 포트) 보통 외부와 연결시 사용
no switchport
ip address 121.160.42.1 255.255.255.252
!
ip route 0.0.0.0 0.0.0.0 121.160.42.2
show ip int brief
show ip route
@SW2(서버 추가)
conf t
int f0/6
switchport mode access
switchport access vlan 14 // 서버 Service DHCP 에 vlan11-14까지 추가 후 각각 PC에 DHCP 할당시 할당 안됨
→NETWORK 가 달라서 ip helper-address 해줘야함
@SW1 SVI인터페이스에 ip helper-address 추가
int vlan 11
ip helper-address 192.168.14.200
!
int vlan 12
ip helper-address 192.168.14.200
!
int vlan 13
ip helper-address 192.168.14.200
!